우리나라의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외국의 사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외국에서는 학교, 지역사회, 서비스 대상자 및 관계된 사람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며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지원체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자
미국의 경우 질병 관리센터 산하의 국가 보건통계센터, 호주의 경우 보건복지 연구원에서 정신건강 통계를 관리하고 있다. 각국의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은 전국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으나 주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아동 청소년, 가족,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학교 및 지역사회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의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 건강 증진 정책 및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의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은 주에 따라 차이가 크며, 학교, 가족 및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 및 프로그램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국립 정신건강연구소는, 미국의 아동 청소년의 정신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연구 및 개입 프로그램들을 개발, 시행 및 평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아웃리치 파트너 기관들 및 전국 비영리기관들과 협력하여 주 및 지역사회 단위에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들을 수행하고 있다. 물질 남용 및 정신건강 서비스국은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들의 감소, 회복 및 치료지원, 제도 개편, 공공의 인식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캐나다의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국가통계에 의하면 아동 청소년 15%가 하나 이상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불안, 반항 품행장애, 주의집중장애, 그리고 우울장애가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캐나다 사망통계에 따르면, 10~24세 아동 청소년 사망의 20.2%가 자살로 인한 사망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캐나다의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은 주 정부 및 지방 정부의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캐나다 아동복지 리그는 멤버십에 기반한 전국적 조직으로 취약한 아동 청소년의 보호와 복지 증진,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캐나다 정신 건강 단체는 아동 청소년과 관련하여 아동 청소년의 인권, 존엄성과 다양성, 통합과 지속성 등의 가치를 강조하는 에버그린 프레임 웍을 제시하였다. 또한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 예방, 개입 및 지속적 관리, 연구 및 평가 활동을 주요 활동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영국의 정신건강 증진 정책의 목적은 생애주기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조기 개입 및 예방이며,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기반의 서비스, 가족 중심의 서비스, 지역사회 조직 및 프로그램은 주로 National Health Service를 기반으로 이루어지지만, 지역 및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정책 프로그램 제공자 및 이해관계자들에 의해서 정책 및 프로그램이 개발된다. 영국 정부 차원에서의 사업 이외에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전국적 자선 조직인 YoungMinds이 있다. 아동 청소년이 가진 정신건강 이슈를 강조하고 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증진하며,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아동 청소년의 부모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조직은 아동 청소년, 가족 및 서비스 종사자들을 위한 정신건강 이슈에 대한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자들을 훈련하고 지지하는 체계이다.
호주의 아동 정신건강을 위한 국가적 정책은 'Kids Matter'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 교직원,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중심의 포괄적인 정신건강 프로그램으로, 긍정적 학교 환경 구축, 학생들을 위한 사회성 및 정서성 학습,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양육 지원 및 교육, 정신건강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초기 개입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 55개의 센터에서 12~25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전반적 건강, 정신건강 및 상담, 교육 및 취업 관련 서비스, 음주 및 약물 관련 문제 및 서비스에 대한 조언, 상담,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양질의 통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청소년들의 정신, 사회, 정서적 웰빙을 향상하고자 하는 비전을 가지고, 인지도, 접근성, 통합, 지속가능성 및 효과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 밖에도 COPMI 프로그램은 정신장애를 가진 부모를 둔 청소년들에게 이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정보 제공 및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호주 보건복지부의 재정 지원받아 학교를 기반으로 진행되는 국가적 정신건강 프로그램인 MindMatters 프로그램 등이 있다.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보건 증진 정책 및 서비스들은 각국에 따라 다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각 국가 내에서도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정책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학교, 가족 및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아동 청소년, 가족, 서비스 제공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예방, 치료 정책 및 프로그램 등이 공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신 질환 및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한 노력을 공통으로 하고 있으며, 학교를 기반으로 생애 주기적 관점에 따른 접근을 한다는 것에서도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개념은 더욱더 긍정적이며 적극적으로 바뀌고 있다.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과 과제는 무엇이 있을까?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연재하여 작성하기로 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물 중독의 정의와 알코올 중독의 단계 (0) | 2022.09.28 |
---|---|
아동의 등교 거부와 학교 공포증에 대하여 (0) | 2022.09.27 |
인지행동치료의 발달 과정과 효과 (0) | 2022.09.20 |
미술치료의 개념과 발달 과정 (0) | 2022.09.19 |
모래놀이 치료의 효과와 치료사의 역할 (0) | 2022.09.18 |
댓글